메모리의 종류와 할당 방식 데이터 영역(전역변수, static 변수) 프로그램 실행 시 로딩 힙(Heap) 영역(프로그래머 할당) 런타임에 크기 결정 스택(Stack) 영역(지역변수, 매개변수) 컴파일 타임에 크기 결정 함수 블록을 나가면 os에서 자동으로 해제시킴 메모리가 중요한 이유 메모리는 무한하지 않다. 즉 관리가 필요하다 사용자에 의한 관리가 필요함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할당된 모든 메모리가 날라감(정확히는 OS에 반환) 서비스 중인 유저의 데이터가 날아가게 되므로 데이터의 복구가 어려움 메모리에 값을 읽고 쓰는 행위는 반드시 동시에 일어나선 안된다(데이터 무결성) 메모리의 저장 매체 파일 : 메모리의 데이터를 프로그램에서 직접 하드 디스크에 기록 데이터베이스 : 메모리의 데이터를 DBMS등의 ..